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사이트맵 검색하기

레일광장 RAIL SQUARE

이 정보 좋아요 추가 0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밴드에 공유 즐겨찾기(북마크) 추가 현재페이지 인쇄

제목 KTX-I
등록일 2011.09.06
조회수 2834
KTX-I

KTX-I(혹은 TGV-K)은 프랑스의 알스톰 사의 기술로 개발하여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철도 차량이다

개요

성능

기본 사양은 TGV 레조와 동일하다. 다만 20량으로 장편성화된 KTX-I의 경우 출력 증대를 위한 모터 블록의 추가와 직류 1.5kV 장치의 제거, 답면구배 조정(객차, 1/40에서 1/20으로) 등이 실시되었고, 회생 제동도 추가되었다. 대차는 기관차의 경우 통형고무식 대차, 객차는 한쪽지지 액슬빔식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 2차 서스펜션으로는 공기 용수철을 사용하며, 축거는 각각 3.0m와 2.5m이다. 고속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사행동 억제를 위한 요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차체
차체는 연강(마일드 스틸)제이며, 테제베 계열의 열차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연접대차(관절 대차)를 채용하고 있다. 주 전동기로는 1,130kW의 동기전동기를 사용한다. 선두부는 스페인의 AVE 렌페 클래스 100과 같은 금형을 사용하고 있다.
운용

영업구간

경부선
• 서울(행신) - 부산 : 경부고속선 전 구간 고속선 경유
• 서울 - (영등포 - 수원 경유) - 부산 : 옥천역 이북은 기존선 경유
• 서울(행신) - (밀양 - 구포 경유) - 부산 : 지천역 이남은 기존선 경유
• 서울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경유) - 마산 : 지천역 이남은 기존선 경유

호남선
• 용산(행신) - 목포 : 대전조차장역까지 경부고속선으로 운행한 후 호남선을 경유하여 목포역까지 운행한다.
• 용산(행신) - 광주 : 호남선 KTX의 일부 편성은 북송정역에서 분기하여 광주선을 경유한 뒤 광주역까지 운행한다.
대한민국의 대통령 전용 객차
• KTX-I 중 1개 편성은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공무수행 중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특별동차 편성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편성은 한국철도공사 특별동차운용단에서 관리하며, 17,18호차의 일반인 출입을 통제한 상태로 평시에는 영업 운행한다.

사고
• 2007년 6월 14일 :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가던 KTX 열차가 밀양시 상동역 인근을 통과하던 중 충격완화장치(요댐퍼)가 선로에 떨어져 열차에 자갈이 튀는 사고가 발생. 1명이 부상을 입고 주차되어 있던 차량 2대가 파손되었다. 해당 열차는 50분 지연 후 부산역에 도착하였다.
• 2007년 11월 3일 : 부산역을 출발할 예정이던 제 110열차(KTX-I 25편성)와 출발을 위해 부산역으로 진입하던 제 112열차(KTX-I 38편성)가 부산역 구내에서 충돌. 승객 2명이 경상을 입고 25편성과 38편성의 전두부가 부서졌다. 제 110열차는 지연 운행하였으며, 운행 예정이던 제112열차는 운휴하였다. 사고 원인은 112열차의 기관사가 신호를 인지하지 못해서이다.
• 2010년 10월 24일 : 서울역을 출발해 부산역으로 가던 KTX열차가 제동장치 부품 파손에 의한 고장으로 오송역에서 멈춰섰다.
• 2011년 2월 25일 : 부산역을 출발해 서울역으로 가던 KTX 제 106열차가 화성시 반월터널 인근에서 멈췄다. 사고는 열감지장치의 작동에 의해 일어났다.
• 2011년 3월 20일 : 부산역을 출발해 서울역으로 가던 KTX 제 130열차가 부산광역시 금정터널 내부에서 멈췄다. 사고 원인은 주요 전동 장치 중 하나인 모터블록 고장이 원인이었다. 한편 같은 해 2월 27일에도 모터블록 고장으로 신경주역에서 멈춰섰다. 또, KTX의 모터블록 고장은 KTX-산천에서도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 2011년 5월 6일 : 부산역을 출발해 서울역으로 가던 KTX 제 132열차가 자동차축검지장치의 이상으로 김천구미역 인근에서 멈춰섰다. 그러나 정확한 정차 사유에 따른 안내방송 조차 없어 이용고객들의 강한 불만을 초래하였고 후속 열차도 10여분 가량 지연 운행되었다.

사진

KTX-I 정측면 사진 KTX-I 차량간 연결 관절형 대차 사진

출처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