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변천사
1899 년 9 월 18 일 경인선 노량진~제물포 간에 우리나라 철도가 창설된 이후 주요 장대 철도교의 건설과 신기술의 도입, 기타 특기사항을 건설 특기 사항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강교량은 인천 기점 22 마일(35km)의 지점에 있는 한강을 남북으로 가설하는 것으로서 만조시가교점에 있어서의 수면 폭은 거의 427m, 최심 약 5m 에 가까우며, 종래의 기록에 남은 최대 홍수면은 평수면상 11m 이므로 교각구조는 견고하고도 높아야 하므로 형하 12.5m 로 하고 최고의 교각은 하저에서 16m 로 하였다.
이 교량은 미국제 61m의 단선 프래트구 10 련을 가설하고, 형폭은 중심간 5m, 높이 11.3m, 양 교대간의 전연장은 630m 이다. 하부 구조는 양 교대 및 9 개의 교각으로 되어, 교대는 전부 화강석으로 겹겹이 쌓아 그 기초는 남안 측에 있어서는 천연의 반상에, 북안측은 자갈층의 위에 모두 콘크리트로 시공하였다.

<한강철교 가교공사(1899~1900)>
교각은 수면까지 화강석을 사용하였고 그 위는 벽돌을 사용하였다. 교각의 기초는 제 1 호부터 제 4 호까지는 장경 9.15m 단경 4.9m 의 타원형 우물통기초를 사용하였으나 제 5 호부터 제 8 호까지는 수심이 깊어 보통의 우물통기초를 사용하기 부적당하므로 같은 크기의 철제함을 사용하였고, 제 9 호는 시공판으로써 견고한 자갈층에 이르도록 기초 콘크리트를 시공했다.
교각의 높이는 18m 에서 25m 에 달하며 사용재료는 강철 1,200ton, 벽돌 120 만개, 석재 5 만개, 시멘트 5,000 통, 발통나무 3,000 개, 목재 6,000 본 등이다.
교량공사는 먼저 미국인 모오스의 손에 의하여 2 개의 교량을 준공하고 제 1, 제 2 및 제 9 의 3 교각 일부를 시공하였다. 그 후 경인철도회사가 인계 시공함에 1899 년 4 월 26 일부터 기성부분을 자세히 검사한 결과 양 교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날림이므로 기성 교각을 모조리 파괴하고 다시 착수하였다.
이 공사는 4 월 하순에 착수하였으나 6 월말부터 강우기에 들어 7 월 상순에 이르러서는 대 수해를 입어 가교가 유실되었다. 또 다시 두 번째의 재해가 겹쳐 10 월에 들어서 정상적인 공사를 할 수 있었으나 동절기 혹한에 의해 공사를 중지하였다. 1900 년 7 월 5 일 준공을 보게 되었으나 시행일수는 전후를 통산하여 270 일을 요했다.
한강철도교 단선은 총 4 년여에 걸친 대공사 끝에 준공되었다. 1900 년 7 월 5 일 경인선 용산~노량진 간 한강 B 선 철도교(단선 단순강프렛트트러스 경간 61.0m=10 연. 총연장 D34>T0 630m)가 가설되어 동년 11 월부터 서울(서대문)~인천 간 직통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한강 B 선 철도교는 그 후 한강 구간의 개량공사를 시행하여 현재 가설되어 있는 한강 B 선의 전신인 연속 강판형 183m=12 연, 244m=8 연, 단순 강프렛트트러스 경간 61.0m=10 연, 총연장 1,110.7m 로 개축되었다.
이때 트러스의 격점이 핀구조로 되어 있고 기타는 모두 리벳연결 구조였다.
한강철도교가 준공되어 경인선이 개통되고 이어 1905 년에 경부선이 부설되자마자 바로 개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우선 처음 공사를 실시할 때 너무 서둘렀기 때문에 강기초의 강도 면에서는 중량 기관차 통행에 위험성이 있었고 수송량도 증가하여 단선으로서는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구 교량의 상류에 제2교량을 가설함과 아울러 앞뒤 부분의 복선토목공사도 시행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공사는 1911년 7월에 착공하였으며 압록강 가교 때 사용한 공기압 우물통기초를 채택, 1912년 9월에 교량 전후부분의 복선토목공사와 동시에 준공하였다.
기존의 한강교량의 개축공사는 1913 년에 실시되어 강도문제를 해결하였다.
한강에 가설되었던 철도교량은 모두 3 개이며 당초(1896~1900)에 가설한 것이 중간의 것이고 1911~1912 년에 가설한 것이 상류(한강인도교 근처) 쪽의 것이다. 나머지 하류쪽의 교량은 1931 년의 만주사변 후, 경부선의 수송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1940 년대에 가설한 교량이며 이것은 당시 일본이 직면한 자재난 등의 이유로 1944 년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2) 1904 년 12 월에 경부선의 개통에 앞서 구미~왜관 간 왜관 낙동강철도교(2 경간 연속 리벳 강라우텐트라겔〈Rauten Trager〉2@46.5(93.0)m=5 연, 단순 리벳 강판형 15.2m=2 연. 총연장 506.9m), 매포~신탄진 간 ‘O신탄진 금강 철도교(2 경간 연속 리벳 강라우텐트라겔 2@62.0(124.0)m)가 건설되었다.
3) 1905 년에는 2 월 15 일에 경의선 문산~장단 간 임진강 철도교 (단순 리벳 강복사재트러스 60.6m, 3 경간 연속 리벳강 평행형복 사재트러스 3@62.6 (187.60)m=2 연, 단순 리벳 강 복사재 트러스 60.6m=1 연, 단순 리벳 강판형 18.3m=10 연, 총연장 701.84m)가 준공되었다. 동년 3 월 29 일에 동선 평양의 ‘R대동강 철도교’3 경간 연속 리벳 강페티트(Petit)트러스 3@62.0(186.0)m)가 각각 준공되었다.
4) 1905 년 6 월 26 일에는 경전선 삼랑진~한림정간 삼랑진~낙동강 철도교(목교)가 가설되어 운행하다가 수해 등으로 기면 상승을 위한 개량공사를 거듭하다가 교각만 세우고 8.15 광복을 맞았다.

<삼랑진-한림정 간 신설된 낙동강 교량 개통행사>
5) 1906 년 2 월 25 일에는 경의선 청천강 철도교(목교)가 준공되었다. 이로써 용산~신의주 간 직통운전이 개시되었다. 그 뒤 이 목교는 3 경간 연속 리벳강복사재트러스 62.6+63.2+62.6(188.4)m 로 대체되었다.

<청천강 교량 준공 및 시운전>
6) 1910 년 한일합병이 이루어지고 1911 년 11 월 1 일에 압록강 철도교(임시교)가 준공되었다. 이에 만주까지 철도가 연장되어 1916 년 11 월 1 일에는 부산~안동 간 직통 열차를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그 뒤 이 가교는 3 경간 연속리벳 강복사재트러스 3@94.2(282.60)m 로 대체되었다.

<압록강 철도 가교 가설공사 및 시운전>
7) 1911 년 6 월에는 경인선과 경부선이 겸용으로 운행되던 한강 B 선 상류 쪽에 수송량의 증가로 열차의 운행 빈도가 가중됨에 따라 복선으로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한강 A 선 철도교(교량구성 및 형식은 B 선과 동일하였으며 총연장 1,113.55m 가 준공되었다. 이는 당시 남한 최장의 철도교라는 기록을 수립하였다.

<1920년 한강철교>
8) 1925 년 7 월 17 일에는 한강 홍수로 수위가 12m 에 달해 한강 철도교의 교대가 유실되어 10 일간 경부선이 불통되는 피해를 입었다.
9) 1940 년 4 월에는 중앙선 능내~양수 간 북한강 철도교(단순 리벳강와 렌트러스 경간 60m=3 연, 단순 상로 리벳 강판형 30m=10 연, 단순 리벳 강판형 24.4m=2 연, 총연장 560m)의 준공과 함께 중앙선 청량리~원주간이 개통되었다. 이 교량의 교각 기초에는 공기압 우물통기초가 시공되었다.

<북한강 교량공사>
10) 1942 년 4 월에 중앙선의 전구간이 경주까지 개통되었고 이 때 안동 부근의 성락천 철도교(단순 상로 리벳 강트러스)가 준공되었다.
11) 1944 년 6 월에는 한강 C 선 철도교 3 경간 연속 리벳 강판형 3@20.2m=4 연, 3 경간 연속 리벳 강판형 3@26.3m=3 연, 3 경간 연속 리벳 강복사재트러스 54.95+78.50+54.95(188.4)m=3 연, 단순리벳 강복사재트러스
62.0m=1 연, 총연장 1,112.8m, 내탄 구조의 L-25 표준 활하중 적용, 복선구조로 설계됨)가 1945 년 8.15 광복 1 년 전에 준공되었다.
12) 1948 년 대한민국의 수립 후, 1950 년 6 ㆍ 25 전쟁이 발발해 동년 6 월 28 일 미명에 한강 인도교와 함께 한강 철도교(A 선, B 선 및 C 선)가 적군의 도하를 막기 위하여 아군에 의해 폭파되었다. 이밖에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전국 철도교는 많은 폭격을 입었다. 이 같은 6 ㆍ 25 전쟁으로 피격된 철도교의 복구 상황은 다음과 같다.
1951 년 4 월 18 일 경부선 왜관 낙동강교 임시 복구
1951 년 4 월 22 일 중앙선 길아천교 복구
1951 년 7 월 15 일 경원선 한탄강교 복구
1952 년 2 월 3 일 중앙선 북한강교 복구
1952 년 4 월 30 일 경부선 왜관 낙동강교 복구
1952 년 6 월 25 일 경부선 임진강교 복구
13) 1950년 9월 28일 수도 서울 탈환 직후 군사작전상 UN 군 공병단의 협조를 얻어 한강철도교가 복구되어 동년 10 년 23 일 가선으로 개통되었다. 이 가운데 1950 년 11 월 15 일부터 3 선중 비교적 피해가 적은 한강 A 철도선의 복구에 착수하였으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1951 년 1 월 3 일 복구공사는 중단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