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철도의 역사
◎ 철도개통전의 교통
☞ 조선시대의 교통수단
1880년 무렵의 남대문로
교자를 탄 관리
인력거
☞ 전차의 등장
양식 고전 건축물 앞을 지나는 전차
경성역에서 남대문을 바라본 시가지를 운행하는 전차
◎ 광복이전의 철도차량
모갈탱크형 기관차
1912년 3월 독일에서 도입한 푸러탱크형 기관차
푸러4형 탱크기관차
파시5형 텐다기관차
미카 3형 텐다기관차
데로1 전기관차
경인철도의 귀빈객차
귀빈객차 외부
특급 아까쓰끼 열차
특급 아까쓰끼 1등 전망차
◎ 광복이후의 철도차량
해방 제1호
UN군 사용 디젤기관차 인수 (1954년 4월)
도입된 디젤기관차
1966년 10월 5일 일본에서 도입된 디젤동차 85량중 1차도입분 20량이서울역에서 운행식 거행 (서울-동인천)
1972년 6월 9일 증산~고한간 10.7km의 구간에서 역사적인 전철의 시운전을 시행했다.
1979년 9월 18 일 현대 차량 중공업에서 제작한 국산 최초의 디젤전기기관차 운행기념식을 서울역 홈에서 거행했다.
1977년 4월 6일 국내 최초로 대우중공업이 제작한 국산 전동차 1편성을 시승 운행했다.
국내최초로 제작된 새마을형 디젤전기동차가 1980년 4월10일 서울역에서 운행식을 거행했다. (서울- 전주)
1980년 11월 1일 국산우등 전동차의 운행식을 거행했다.
-국산우등 전동차는 110km/h, 전기식 자동제어, 3860HP으로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했다.
영동선에 운행중인 전기기관차
신형 전기기관차
6.25전쟁 직후 유개화차 내부에 목판의자를 설비하여 여객용으로 개조한 대용객차
1998년4월 20일 기존 장애인열차에 비해 조작이 간편하고 승하차 시간이 단축된 장애인 열차를 신규 제작하여 운행에 들어갔다.
1998년 7월 28일 장거리 관광열차의 편의를 위해 무궁화호 일반실 2량을 개량하여 고급장식과 조명시설,엠프와 마이크 등 방송설비를 완비한 스넥카를 개발하여 서울역에서 전시회를 가졌다.
1996년 4월 16일 도시통근자들의 편의제공 및 보다 향상된 여객 서비스를 위해 도시 통근형 CDC동차의 운행을 개시했다.
◎ 6.25 전쟁과 철도
북한군의 공격을 피해 남하하려는 피난민들이 수원에서 출발하는 수송 열차에 매달려 있다.(1950년 7월)
가재도구를 이고 진 피난민들이 경부선 선로를 따라 남쪽으로 피난길을 재촉하고 있다.(1951년 1월 4일)
1950년 12월 4일 국군 및 유엔군이 평양을 철수하자 북한주민들이 파괴된 대동강 철교를 기어오르며 필사적으로 남하하고 있다.
6.25전쟁 당시 한강철교 피폭 모습
낙동강철교 복구 개통기념 열차에 시승하여 손을 흔들고 있는 이승만 대통령
6.25 전쟁의 상흔이 남아있는 월정리역 철마의 잔상
◎ 현재 운용중인 차량
무궁화호 디젤동차
무궁화호형 디젤전기동차
새마을호 디젤동차
과천,분당선 전동차
일산선 전동차
KTX
◎ 열차운행의 변천
1899년 9월 18일 철도가 개통되면서 최초로 경인선에 운행된 미국 브룩스사제작의 모갈형 탱크기관차
1906년 4월 16일 서대문~초량간을 운행한 직통급행열차를 순종황제의 연호인 ’융희’로 명명했다.
1933년 4월 1일 민주지방의 철도교통로를 정비한 후 한일만중의 직통연결과 고속화를 감행하여 부산~안동 간에 운행한 특급 제1,2열차
1909년 12월 19일 한국 최초의 사설철도인 연장 6.2마일의 부산진-동래온천간 증기철도가 영엽을 개시했다.
서울~부산 간을 6시간 45분만에 주파한 아까쓰끼열차의 운행 모습
광복이후 최초로 우리 손으로 조립된 기관차가 인천공작창에서 출창되자 모두가 환호하고 있다.
조선해방자호1945년 12월27일 우리의 기술로 만든 기관차(해방 제1호)가 영등포-수원 사이에서 시운전되었으며,1946년 5월20일 서울-부산 간에 운행된 특별급행 1,2열차를 조선해방자호라고 명명했다.
통일호
1960년 2월 21일 서울-부산 간을 6시간 40분에 운행한 무궁화호 열차모습
1967년 9월 1일 평화를 상징하는 특급 비둘기호를 서울-부산진간 운행을 개시했다.
1969년 2월 10일 새마을호의 전신인 특급열차 관광호가 서을-부산 간 운행을 개시했다. 사진은 서울역 홈에서 출발직전의 최초 관광호 열차
5.16군사혁영 이후 국가재건 최고회의가 설립된 각 부문에 ’재건’의 바람이 일자 당시 국가 정책의 홍보를 위해 서울-부산간을 6시간10분에 주파하는 특급열차에 1962년 5월 15일부터 재건호라고 명명하여 운행하기 시작했다.
서울-부산간에 최신 유선형의 새마을호 열차를 운행했다. (1986년 7월 21일)
새마을호
증기기관차가 퇴역(1967년)한지 27년만에 교외선(서울-의정부 간 48.3km)관광열차로운행을 재개했다.(1994년 8월 21일)
◎ 영업 변천 및 서비스 개선
서울역 등 31개 주요역에 여행안내소를 설치하여 여행정보의 제공 등 좀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회를 마련했다. (1962년 10월 31일)
여객서비스 향상의 일환으로 열차내 방송을 실시했다.(1968년)
서울역 남부 관광싸롱 개업 (1969년 9월 18일)
1981년10월1일부터 열차의 좌석을 각 역마다 일정수를 배정하여 수작업으로 승차권을 발매하던 것을 대신하여 새마을호승차권에 대하여 전산단말기를 설치하여 판매를 개시했다.
남부화물기지내 컨테이너 기지 준공(1984년7월16일)
고객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가는 철도구현을 목표로 철도혁신 100대과제 선포식 및 실천다짐 대회를 거행했다. (1998년 5월 25일)
서울역 대합실 안에 종합관광안내센터를 실시하여 철도이용안내, 민원접수처리, 철도회원전용창구, 장애인 및 노약자 전용창구의 역할 및 종합관광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했다.(1998년 7월 15일)
◎ 철도 연선의 풍경
대한제국 황제의 순행 (개성역)(1910년 2월 2일)
평양의 인차철도:1905년 4월3일 개통된 경의선 개성-평양 구간 중 평양부근의 한 지점
1970년대 서울역광장에서 설 귀성표를 예매하기 위해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
역구내 잡상인(1950년대초)
1970년대 산업화에 따른 석탄과 시멘트 수송에 큰 몫을 차지한 철도
◎ 철도시설의 변천
☞ 건축
철도청 용산청사(1968)
인천역
남대문역사
경부철도 개통당시의 초량역
경인철도 개통당시의 영등포역
용산역
서양고전양식의 벽돌조건물인 부산역 전경,2층은 철도호텔이었다.
대구역
대전역
서울역
영월역
곡성역
바닷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역인 동해안 영동선 정동진역
서울민자역사
1914년10월10일 조선호텔이 영업을 개시했다. 조선호텔은 신축당시 여객승강용 10마력 1대, 화물승강용6마력 1대,식선승강용 5대의 엘리베이터를 최초로 갖추었다.
인천 월미도 조탕온천장
☞ 철도 건설
경인철도 설계도
서대문역에서 거행된 경인철도개통 기념식,태극기와 일장기가 개통 기념 아취아래 선명히 걸려있다.(1900년 11월 12일)
남대문역에서 거행된 경부철도개통식(1905년 5월 25일)
서빙고-왕십리 구간 완공 모습과 한강연안의 풍경
경전선 궤도부설공사 장면
인천이나 소래에서 생선과 새우젓을 가득담아 수원쪽으로 행상을 떠나는 아낙네들과 채소를 한 바구니이고 도시로 채소장사를 나서는 여인네로 가득했던 수인선 협궤동차
장사를 나서는 아낙네들이 고잔역 구내에서 협궤동차를 기다리고 있다.
수여선 이천역
정선선 터널갱문 콘크리트 공사장면
태백선 건설공사장면
험준한 영암선 철도 모습
맨 아래 철로는 나한정역과 도계역을 잇는 선로이며 중간의 화물열차가 나한정역에서 흥전역으로 올라가고 있다. 맨위 여객열차는 흥전역에서 통리역 방향으로 나아가고있다.
관통후 기뻐하는 관계관
경인선 부설당시의 한강철교 (1900년)
중앙선 금교1터널 (루프식)
☞ 신호 시설
신호리버대(기계연동장치)
전기식 조작반 취급 (전기연동장치)
기계식 완목신호기
선로전환기(본선), 전기식 선로전환기(본선)
통표폐색장치
통표 주는 걸이
지상장치와 차장장치의 결합
기관차용 무선전화
☞ 철도의 전철화
태백선 제천-고한 간80.1km의 전철개통식에서 운행된 개통열차(1974년 6월 20일)
인천공설운동장에서 거행된 경인, 경수간 전철착공식 (1971년 4월 7일)
완성된 전철과 이용 모습
공사준공 단계의 과천선 터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