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레일광장 RAIL SQUARE

  • home
  • 레일광장
  • 지식Q&A

지식Q&A

  • 제목 지하철 출입문 개폐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뭔가요?
  • 등록자조**
  • 등록일2008.11.13
  • 지식유형기타
  • 등록답변2
지하철을 타면 늘 느끼는 건데요.
역에 따라서 지하철 문이 반대로 열리는 경우가 있잖아요.
그건 왜 그런거예요?

목록 답변

답변(※ 본 질문은 답변이 존재하기 때문에 삭제하실 수 없습니다.)
  • 답변제목 지하철 출입문 개폐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뭔가요?
  • 등록자 관**
  • 등록일2008.11.13
보통은 지하공간에 대한 문제 때문입니다.
섬형으로 승강장 좌우에 레일이 깔려 있는 경우는
대부분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어려운 지형(연약한 암반이거나 모래 토질)이거나
역 상부에 구조물의 하중 때문에 지하구조물을 크게 만들지 못할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차 레일이 중앙부에 마주보고 설치가 되고
레일 밖으로 승강장이 설치되는 지역은
비교적 지하 구조물을 건설하기 쉽고
지하철 역 상부 구조물이 없어서 역사를 크게 만들어 사용해도 문제가 없는 지역일때 사용합니다.
지하철 역 주변 유동인구가 많을 때 가장많이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대구지하철 역 화재 처럼 인접한 레일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인접한 다른 철로 레일에도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레일을 전체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섬 형으로는
승강장의 면적이나 유동인구에 따른 배려가 부족한 경우 일시에 양뱡향으로
객차가 들어오는 경우 심각하게 통행에 제한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도 있구요.
승강장의 안전이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스크린 도어를 설치해서 어느정도 까지는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답변(※ 본 질문은 답변이 존재하기 때문에 삭제하실 수 없습니다.)
  • 답변제목 지하철 출입문 개폐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뭔가요?
  • 등록자 김**
  • 등록일2016.08.24
승강장의 위치에 따라서 출입문 개폐방향이 달라 집니다.
승강장이 선로 가운데에 있는것을 섬식 승강장
승강장이 양 선로 바깥쪽에 있는것을 상대식 승강장이라고 합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데요 지하구조물을 건설하는데 별다른 문제점이 없으면 상대식 승강장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승강장을 잘못 내려왔을경우에는 다시 대합실층으로 올라가서
반대방향으로 넘어가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섬식 승강장의 경우에는 상,하행 열차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승강장구간이 지나면
다시 상,하행 선로가 서로 일정하게 합쳐셔 가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곡선이 생겨서 선로 유지관리에
애로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